연어 (음식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연어는 일반적으로 주황색 또는 붉은색을 띠는 생선으로, 카로티노이드 색소에 의해 색이 결정된다. 영양학적으로는 단백질과 오메가-3 지방산이 풍부하며,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. 연어는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요리법으로 활용되며, 훈제, 사시미, 스시, 그라브락스 등이 대표적이다.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연어 요리가 대중화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되고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알래스카 요리 - 막탁
막탁은 다양한 언어로 불리며 양고기, 쇠고기, 말고기 등을 주재료로 채소와 향신료를 넣어 끓인 전통 음식으로, 현대에는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. - 알래스카 요리 - 하드택
하드택은 밀가루, 물, 소금으로 만들어진 얇고 단단한 비스킷으로, 보존성이 뛰어나 군인이나 선원의 식량으로 사용되었으며, 고대부터 존재했고,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배급되었으며, 현재는 건빵으로 불리며 간식으로 판매되기도 한다. - 연어 - 곱사연어
곱사연어는 곱사송어라고도 불리며 태평양과 북극해 연안에 서식하고 산란기에 수컷의 등이 굽어지는 특징을 가진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, 구이, 훈제, 통조림 등으로 식용되고 알은 명란젓이나 연어알로 가공된다. - 연어 - 브라단 파서
브라단 파서는 아일랜드 신화의 지혜의 연어 이야기처럼 지혜를 얻는 모티프를 다루는 용어로, 다른 문화권 신화와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. - 식용 물고기 - 생선
생선은 전 세계 32,000종 이상 존재하는 물에 사는 척추동물인 어류를 통칭하며, 다양한 맛과 질감, 풍부한 영양을 제공하지만 건강상 위험과 환경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. - 식용 물고기 - 흰살생선
흰살생선은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 함량이 적어 살이 희고 콜라겐 함량이 높아 부서지기 쉬우며 지방이 적어 담백한 맛을 내는 어류로, 회, 구이, 조림, 튀김, 어묵, 어육 가공품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.
연어 (음식) | |
---|---|
일반 정보 | |
![]() | |
주요 어획 지역 | 알래스카 노르웨이 스코틀랜드 캐나다 러시아 |
식품으로서의 연어 | |
종류 | 기름진 생선 |
섭취 방법 | 스테이크 구이 훈제 절임 초밥 회 |
영양 정보 | 생 대서양 연어 (100g 기준): 열량 142kcal, 단백질 19.84g, 지방 6.34g |
오메가-3 지방산 함량 | 2018mg (100g 기준) |
콜레스테롤 함량 | 55mg (100g 기준) |
양식 연어 | |
양식 방식 | 해상 가두리 양식 |
주요 생산 국가 | 노르웨이 칠레 스코틀랜드 캐나다 |
히트라 섬 | 노르웨이 연어 양식의 중심지 |
역사 및 문화 | |
노르웨이 | 1980년대 일본에 연어 초밥 소개 |
프로젝트 일본 | 노르웨이의 대일 연어 수출 프로젝트명 |
배경 | 당시 노르웨이의 카펠린 수출 감소 |
러시아 금수 조치 | 노르웨이산 연어의 러시아 수출에 영향 |
현재 | 중국이 아시아 최대 연어 수출 시장으로 부상 |
2. 색상
생 연어는 70%가 물, 20%가 단백질, 6%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탄수화물은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. 100g을 기준으로 할 때, 생 연어는 142 칼로리를 제공하며, 여러 비타민 B군, 특히 비타민 B12 (133% DV), 셀레늄 (52% DV), 인 (29% DV)의 풍부한 공급원(DV의 20% 이상)이다. 식이 미네랄은 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, 구리 (15% DV)와 칼륨 (10% DV)도 함유하고 있다.
PCB, 메트포르민, 수은은 미국 태평양 북서부의 주요 대도시 하수 처리 시설 근처에서 잡힌 야생 연어에서 발견되는 일부 오염 물질이다.[4][5] 노르웨이에서는 양식 연어와 천연 연어의 환경 오염 물질 함유량에 차이가 있는데, 양식 연어는 환경 오염 물질 함유량이 적고, 천연 연어는 지방산 오메가-3 함유량이 높다.[29]
연어 알레르기는 알려져 있다. 이전에 연어에 알레르기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다. 한 여성 의사가 연어 알레르기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연어를 먹은 후 세 번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사례가 보고되었다.[6]
연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식재료이다. 생으로 먹거나 익혀서 먹는 등 다양한 조리법이 존재하며, 각 나라와 문화권에 따라 특색 있는 요리들이 발달해왔다. 대표적인 연어 요리로는 사시미와 초밥 등이 있다.
연어 살은 일반적으로 주황색에서 붉은색을 띠지만, 흰 살 연어도 일부 존재한다. 연어의 자연적인 색상은 살 속에 있는 카로티노이드 색소, 주로 아스타잔틴과 칸타크산틴에 기인한다.[3] 자연산 연어는 크릴 및 기타 작은 갑각류를 먹음으로써 이러한 카로티노이드를 얻는다.
카로티노이드 농도는 살 1kg당 8mg을 초과하며, 모든 어류 생산자는 "로슈 컬러 카드"에서 16의 값을 나타내는 수준에 도달하려고 한다. 이 컬러 카드는 특정 투여량에서 생선의 분홍색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. 이 척도는 아스타잔틴으로 인한 분홍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, 칸타크산틴으로 얻은 주황색과는 무관하다. 가공 및 보관 작업의 발전으로 인해 칸타크산틴의 살 농도에 해로울 수 있는 가공의 저하 효과를 보상하기 위해 사료에 더 많은 양의 색소를 첨가하게 되었다. 자연산 생선에서는 최대 25mg의 카로티노이드가 존재하지만, 칸타크산틴의 수준은 미미하다.[3]
3. 영양
연어는 단백질과 오메가-3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한 오일리 피쉬[28]로 분류되는 일반적인 식용어이다[29]. 양식 연어와 천연 연어의 주요 생산국인 노르웨이에서는 양식과 천연 연어가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 측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. 양식 연어는 환경 오염 물질 함유량이 적고, 천연 연어는 지방산 오메가-3 함유량이 높다[29].
4. 오염 물질
생 연어의 육질에는 아니사키스증을 유발하는 해양 기생충인 아니사키스 선충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. 냉장이 가능해지기 전에는 일본에서도 생 연어를 소비하지 않았다. 1980년대 후반 무기생의 노르웨이산 연어가 등장하면서 사시미나 스시 제조에 연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.[30]
5. 알레르기
6. 야생 연어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
7. 상품
연어 살은 일반적으로 오렌지색에서 붉은색을 띠지만, 흰 살 연어도 일부 존재한다. 연어의 자연적인 색상은 살 속에 있는 카로티노이드 색소, 주로 아스타잔틴과 칸타크산틴에 기인한다.[3] 자연산 연어는 크릴 및 기타 작은 갑각류를 먹음으로써 이러한 카로티노이드를 얻는다.
카로티노이드 농도는 살 1kg당 8mg을 초과하며, 모든 어류 생산자는 "로슈 컬러 카드"에서 16의 값을 나타내는 수준에 도달하려고 한다. 이 컬러 카드는 특정 투여량에서 생선의 분홍색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. 이 척도는 아스타잔틴으로 인한 분홍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, 칸타크산틴으로 얻은 주황색과는 무관하다. 칸타크산틴의 살 농도에 해로울 수 있는 가공 및 보관 작업의 발전으로 인해, 가공의 저하 효과를 보상하기 위해 사료에 더 많은 양의 색소를 첨가하게 되었다. 자연산 생선에서는 최대 25mg의 카로티노이드가 존재하지만, 반대로 칸타크산틴의 수준은 미미하다.[3]
세계 시장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대서양 연어는 양식된 것이며, 태평양 연어의 대다수는 자연산이다. 미국에서 판매되는 통조림 연어는 일반적으로 태평양에서 잡은 자연산이지만, 일부 양식 연어도 통조림으로 판매된다. 훈제 연어는 또 다른 조리법이며, 뜨겁게 또는 차갑게 훈제할 수 있다. 락스는 차가운 훈제 연어 또는 소금물에 절인 연어(그라브락스)를 지칭할 수 있다. 전통적인 통조림 연어에는 껍질(무해함)과 뼈(칼슘을 보충)가 포함된다. 껍질과 뼈가 없는 통조림 연어도 판매된다.
생 연어 살에는 ''아니사키스'' 선충류, 즉 아니사키스증을 유발하는 해양 기생충이 들어 있을 수 있다. 냉장 기술이 보급되기 전까지 일본에서는 생 연어를 먹지 않았다. 연어와 연어 알은 1980년대 후반에 기생충이 없는 노르웨이 연어가 도입되면서 사시미 (생선회)와 초밥을 만드는 데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했다.[8]
일반적인 종류의 조리된 연어는 100g당 500mg~1500mg의 DHA와 300mg~1000mg의 EPA (두 가지 유사한 종류의 지방산)을 함유하고 있다.[9]
8. 요리
8. 1. 세계의 연어 요리
이름 | 이미지 | 원산지 | 설명 |
---|---|---|---|
그라브락스 | ![]() | 북유럽 | 소금, 설탕, 딜로 절인 생 연어. 얇게 썰어 애피타이저로 제공되며, 빵 또는 삶은 감자와 함께 딜과 겨자 소스(hovmästarsås 또는 gravlaxsås)를 곁들인다. |
로히케이토 | ![]() | 북유럽 (주로 핀란드) | 연어 필레, 삶은 감자, 부추로 만든 크림 연어 수프로, 딜을 약간 넣어 따뜻하게 제공된다.[10][11] |
로미 연어 | ![]() | 폴리네시아 | 신선한 토마토와 연어로 만든 샐러드. 초기 서양 선원들이 하와이에 소개했다.[12] 절인 생 연어를 토마토, 마우이 양파(또는 실파)와 섞고, 붉은 고추 플레이크나 부순 얼음을 넣기도 한다. 차갑게 제공된다. 연어, 토마토, 오이, 양파를 잘게 썰어 넣기도 한다. |
록스 | ![]() | 유럽 (아슈케나지 유대인) | 절인 생선 필레. 얇게 썰어(두께 5mm 미만) 베이글 위에 크림 치즈, 양파, 토마토, 오이, 케이퍼와 함께 제공된다(북미). 잘게 썬 록스는 계란 스크램블에 넣어 요리하기도 하며, 잘게 썬 양파와 함께 제공된다. |
루이베 | ![]() | 일본 | 얼린 연어를 사시미처럼 썰어 간장과 물후추를 곁들여 제공한다.[13] |
연어 버거 | ![]() | 햄버거 스타일로 만든 생선 케이크의 일종. 연어는 서로 붙어 있게 하는 바인더가 필요하고 너무 익으면 건조해지기 쉽다.[14] 알래스카에서 쇠고기 햄버거 대신 흔히 제공된다.[15] | |
연어 타르타르 | ![]() | 신선한 생 연어와 양념으로 준비한 애피타이저. 크래커나 빵에 발라 제공된다. | |
훈제 연어 | ![]() | 생선 필레를 절여 핫 또는 콜드 훈연한 것. 높은 가격으로 인해 별미로 여겨진다. 록스와 비슷하지만 다른 제품이다.[16] | |
연어 사시미 | ![]() | 일본 | 얇게 썬 생 연어를 간장과 와사비에 찍어 먹는다. |
연어 스시 | ![]() | 노르웨이,[17] 일본 | 얇게 썬 생 연어를 밥과 함께 제공. 김과 함께 마키즈시로 말거나 니기리스시로 밥 위에 올려 제공하며, 간장과 와사비에 찍어 먹는다. |
키퍼드 연어 | 후파, 카루크, 유로크 | 과일나무를 사용하여 겉은 익고 속은 익지 않은 상태로 훈제한 다음 통조림에 넣어 가압 조리한 연어. 고추 및 기타 조미료로 양념할 수 있다. |
8. 2. 한국의 연어 요리
9. 갤러리
참조
[1]
웹사이트
What's an oily fish?
http://www.food.gov.[...]
Food Standards Agency
2004-06-24
[2]
웹사이트
How healthy is farmed salmon?
https://sciencenorwa[...]
Sciencenorway.no
2017-12-22
[3]
웹사이트
Opinion of the Scientific Committee on Animal Nutrition on the use of canthaxanthin in feedingstuffs for salmon and trout, laying hens, and other poultry
https://ec.europa.eu[...]
European Commission — Health & Consumer Protection Directorate
[4]
웹사이트
More environmental pollutants in wild salmon than in farmed salmon
https://nifes.hi.no/[...]
Institute of Marine Research, Norway
2017-03-24
[5]
간행물
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 in a large temperate estuary
[6]
간행물
Anaphylaxis Conundrum: A Trojan Horse Phenomenon
2017-03
[7]
웹사이트
Salmon: All Recommendations for Salmon
https://www.seafoodw[...]
Seafood Watch, Monterey Bay Aquarium, California
2019
[8]
뉴스
How The Desperate Norwegian Salmon Industry Created A Sushi Staple
https://www.npr.org/[...]
National Public Radio
2015-09-18
[9]
웹사이트
Addendum A: EPA and DHA Content of Fish Species
http://www.health.go[...]
USDA
[10]
서적
Scandinavian feasts: celebrating traditions throughout the year
U. of Minnesota Press
[11]
서적
North Atlantic Seafood: A Comprehensive Guide with Recipes
Ten Speed Press
[12]
웹사이트
Polynesian Cultural Center: Hawaiian Luau Food
http://www.polynesia[...]
[13]
서적
Japan
https://books.google[...]
Lonely Planet
2009-10-01
[14]
뉴스
The Minimalist; Burger With No Need of Ketchup
https://www.nytimes.[...]
1998-06-10
[15]
뉴스
Alaska
https://books.google[...]
Lonely Planet Publications
[16]
뉴스
So Pink, So New York
https://www.nytimes.[...]
2002-09-22
[17]
웹사이트
Norway's Introduction of Salmon Sushi to Japan
http://www.nortrade.[...]
[18]
웹사이트
巨大なノルウェーサーモンの養殖施設を調べてみた
https://umito.maruha[...]
マルハニチロ
2019-07-25
[19]
웹사이트
ノルウェーにおける最先端養殖技術 —現在と将来—
https://lib.suisan-s[...]
一般社団法人 東京水産振興会
2020-02
[20]
웹사이트
サーモン寿司はノルウェー発祥 日本を席巻するワケ
https://www.nikkei.c[...]
日本経済新聞
2017-04-07
[21]
웹사이트
「サーモン」輸入にウクライナ侵攻の影響 それでもスシローやくら寿司が大きく慌てていない理由
https://www.itmedia.[...]
2022-05-31
[22]
웹사이트
Norway's Introduction of Salmon Sushi to Japan
http://www.nortrade.[...]
[23]
웹사이트
How The Desperate Norwegian Salmon Industry Created A Sushi Staple
https://www.npr.org/[...]
2015-09-18
[24]
웹사이트
サーモン寿司 30 周年に際してのご挨拶
https://www.suisanka[...]
[25]
웹사이트
露の水産物禁輸でノルウェーのサーモンはどこ行った?
https://wedge.ismedi[...]
2023-10-11
[26]
웹사이트
回転寿司で断トツ人気の「サーモン」は、かつて築地のプロから門前払いだった 知られざる「ノルウェーサーモン誕生秘話」
https://www.dailyshi[...]
2022-11-21
[27]
웹사이트
ノルウェー水産局「中国がアジア最大のサーモン輸出先国に」
https://www.recordch[...]
2023-08-13
[28]
웹사이트
What's an oily fish?
http://www.food.gov.[...]
英国食品基準庁
2004-06-24
[29]
웹사이트
How healthy is farmed salmon?
http://sciencenordic[...]
SciencenNordic
2017-12-22
[30]
뉴스
How The Desperate Norwegian Salmon Industry Created A Sushi Staple
https://www.npr.org/[...]
National Public Radio
2015-09-18
[31]
웹인용
Cholesterol: Cholesterol Content in Seafoods (Tuna, Salmon, Shrimp)
http://www.dietaryfi[...]
[32]
웹인용
Farmed vs. wild salmon -- which is better?
http://bc.ctvnews.ca[...]
CTV News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